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21. 21世 〉31. <부정공>귀은공휘병문행록(龜隱公諱秉文行錄)
1. 문헌 목록 〉21. 21世 〉33. <부정공>송파공휘병선행장(松坡公諱秉善行狀)
1. 문헌 목록 > 21. 21世 >  
32.<부정공>귀서공휘병주행략(龜捿公諱秉周行略)
龜捿公諱秉周行略 公諱秉周字武洪龜捿其號也玉川之趙根於麗朝中葉鼻祖諱璋檢校大將軍門下侍中生諱洪珪進士出身奉翊大夫版圖判書生諱佺 贈三韓壁上功臣大匡輔國光祿大夫玉川府院君生諱元吉字聖中號農隱與圃牧陶治諸先生爲道義交常友善官至門下侍中諡忠獻生諱瑜號虔谷文官副正逮麗社屋守罔僕義我 世宗朝累徵以大官不就遯跡于淳昌之虔谷生諱崇文字武伯號竹村諡節愍 端廟丙子六臣之禍與子哲山同殉後躋享于莊陵別壇及東鶴寺 肅慕殿西廡及謙川祠累傳至曾祖諱基信字聖一號務本齋祖諱鎭龍字文汝號湛軒考諱善浩字伯慶號述菴妣朔寧崔相朝女生諱秉斗秉文即公伯仲野 哲宗丁巳二月二十一曰生公于龜山世第畿質清秀儀容端雅才三歲母夫人違背繼妣咸安尹學儉女賢淑柔婉乳之衣之提抱保育無異己出至七八歲偉如成人儀間有驚人語就學讀書煩程督聞一輒記儕流莫及行年十一考又罹篤珍奄怱賓天公接願付尸號哭哀痛幾至傷生見者莫不感哀流涕嗚呼侍父母之福何若是其薄耶雖然内有繼妣保寧之恩外有伯仲友于情賴而善長雖具敬之子弟莫過於公之豪華矣及成童文藝夙就援筆如流皆以才童稱之入以孝奉繼妣出以敬承伯仲事無大小必禀而後行言笑動止無不中規立心以忠信行巳以端莊臨事以明敏接人以恭謹居身以質朴待賓以豊艶御婢僕以恩及娶婦入門以和敬檃括婦分天性純厚仁慈敬承君子配德無違其於媤叔妯娌溫恭諄謹一門之内怡怡陶陶無方底圓盖之弊鄉人嘖嘖其孝友今世罕有也公兼視大小家事一無物我之間每事必先幹大宅而後及於自家餘力必就伯仲之所討論古書及經史子集相互講磨或吟風咏月爲常事每於祭夜必沐浴齋戒不御酒肉不幹外務祭需供奠思其所嗜必躬自檢飭於烹飪之節以致其如在之誠盖其孝友繼世相承擩染家訓素自來矣嘗戒子姪曰觀今世道趨下不啻且居遐土僻陬別無可爲之事不如守分安命力田劬經修身齊家勿墜家規而己汝其勉之哉以癸卯三月七日病卒于寝享年四十七士友皆謂仁人不壽理固難諶矣襄奉于住岩面雲峴艮坐原齊昌寧曺有承女有一男淵尚繼配星山李鍾喆女育二男三女男淵瑀淵彰濟州梁志鉉星山李孝淳濟州梁會銓妻淵尚娶竹山安圭泰女生休川休弼出系仲父淵瑀昌寧曺秉泰妻礪山宋银鍾妻淵瑀娶濟州梁儀敎女生竹山安喆淳妻廣州李達遠妻蓮彰娶坡平尹鎔喆女生休瑗休善休鍾金起洙妻餘煩不盡錄公從孫休警要余爲一文以圖不朽款曲爲言余以不文固辭不得強叔叙如右伊俟立言君子之採擇焉 宗黨 珉燮 撰 귀서공휘병주행략(龜捿公諱秉周行略) 공의 휘는 병주요 자는 무홍(武洪)이며 귀서는 그 호였다. (선대 세덕은 여러대 장 갈에 명시되었음므로 첩록 아니하고) 조의 휘는 진룡(鎭龍)이요 자는 문여(文汝)며 호는 담헌(湛軒)이고, 고의 휘는 선호(善浩)요 자는 백경(伯慶)이며 호는 술암(述菴)이고, 비는 삭녕(朔寧) 최상조(崔相朝)의 따님이며 생휘 병두(秉斗)·병문(秉文)은 곧 공의 백·중씨였다. 철종(哲宗) 정사(丁巳一八五七)년 二월 二十一일에 귀산 세장에서 출생하였는데, 기질이 청소하고 의용이 단아하며 三세에 모친을 잃고, 계비(繼妣) 함안윤씨(咸安尹氏) 학검(學儉)의 따님이 어질고 맑아 젖먹이고 입히며 끌어안고 기르기를 자기 아들같이 하였다. 七·八세가 됨에 장대하여 성인의 거동이 있고 간간히 사람을 놀라게 하는 말을 하며, 취학하여 정독 아니하여도 하나를 들으면 문득 기록하니 동료들이 따를 자 없었다. 十一세에 부친이 독진에 걸려 별세하니 공이 시신에 얼굴을 부미며 부르짖어 울며 애통해 하고 거의 살고자 아니하니, 보는 자 감동하여 눈물 흘린 자 많았다. 아! 부모를 모실 복이 어찌 이다지도 박한가. 그러나 안으로 계비의 보육의 은혜가 있고 밖으로 백·중씨 우애의 정이 있어 비록 부모가 구존한 자제라도 공의 호화보다 더한자 없었다. 장성함에 문예가 일찍 진취하여 붓을 잡으면 물 흐르듯 쓰니 다 재동이라 칭찬하였다. 들면 효도로서 계비를 받들고 나가서는 백·중씨를 경대하여 일의 대소가 없이 반드시 고한 뒤에 행하며, 말과 웃는 것과 움직이고 그친 것이 규범에 맞지 아니한 것이 없고, 마음을 충성과 믿음으로서 세우며 몸을 단정히 하고 행동은 씩씩하게 하며 일은 맑고 민첩하게 처리하며, 공근으로서 사람을 대접하고 비복을 은혜로써 거느렸다. 취처하여 부인이 문에 들매 화경으로써 펴고 모진 데를 바로하니 본래 천성이 순후하고 인자한지라 군자를 공경스럽게 이어 짝한 덕이 어김이 없고, 시숙 동서간에 온공 순군하니 문중이 기뻐하고 화락하여 서로 틀린일이 없으니 고을 사람이 이 세상에 드물게 있는 효우라고 큰 소리로 칭송하였다. 공이 대소 가사를 보면서 내것 네것 분별이 없이 항상 먼저 큰댁 일을 마친 뒤에 자기집 일을 보고, 남은 시간이 있으면 반드시 백·중씨 처소에 나가, 고서 및 경사자집을 토론하고 서로 갈고 연구하며 때론 음풍영월(吟風咏月)로 소일하였다. 제삿날 밤에는 목욕 재계하고 술과 고기를 들지 아니하며 밖에 일을 간검치 아니하고 제수와 전상은 그 즐겨한 바를 생각하여 반드시 몸소 스스로 숙정을 간검하여 살아계실 때처럼 정성을 다하니, 대개 그 효우가 대대로 계승하고 가훈을 이어받으니 본디 그 근원이 있도다. 일찍 자질을 경계하여 말하기를, 이제 세태가 점점 험해질 뿐 아니라 또 먼 시골에 묻혀 할만한 일이 없으니 분수를 지키고 명을 편안히 하며, 힘써 갈고 부지런히 읽어 몸을 닦고 집을 편안하게 하여 가성을 떨어뜨리지 말라고 유촉하시었다. 계묘(癸卯一九○三)년 三월 七일에 향년 四十七세로 별세하니 사우(士友)가 어진 사람이 단명한 것은 그 이치를 헤아리기 어렵다 하였다. 주암면 운현 간좌원(雲峴艮坐原)에 안장하고 부인 창녕(昌寧) 조유승(曺有承) 여는 아들 연상(淵尙)을 두고, 계배 성산(星山) 이종철(李鍾喆) 여는 二남三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연우(淵瑀)·연창(淵昌)이요 딸은 제주(濟州) 양지현(梁志鉉)·성산 이효순(李孝淳)·제주(濟州) 양회전(梁會銓)의 처며, 손자 휴천(休川)·휴필(休弼)은 큰아들 소생인데 휴필이 연우 후사로 출계하였고 휴원(休瑗)·휴선(休善)·휴종(休鍾)은 세째 아들 소생이며 나머지는 다 기록 아니한다. 공의 종손 휴경(休警)이 나에게 문자를 써서 영구히 전하게 하여 달라고 간곡히 말하므로 문자가 고루하다고 사절하다가 부득이하여 위와같이 서술하여 바른말 하는 군자의 채택을 기다림. 종당(宗黨) 민섭(珉燮) 지음
 
1. 문헌 목록 〉21. 21世 〉31. <부정공>귀은공휘병문행록(龜隱公諱秉文行錄)
1. 문헌 목록 〉21. 21世 〉33. <부정공>송파공휘병선행장(松坡公諱秉善行狀)